썸네일감성분석4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운동화) -4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마지막 스토리 다. 감성 분석결과 다-1. 신발 방향과 제 1주성분과의 상관성 아래 그림은 바리맥스(Varimax) 회전 후 부하량 결과로 나타난 주성분 득점배치도이다. 신발 코의 방향이 왼쪽을 향한 썸네일이 주성분2인 [제품완성도]에서 높은 득점을 배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이 많아 보편화하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신발 코의 방향에 따른 감성분석은 성립되지 않았다. 다-2. 신발의 개수에 따른 주성분과의 상관관계 신발의 각도를 달리하거나, 앞,뒤 등 방향을 달리하여 한 번에 보여주는 등의 신발의 개수를 달리한 썸네일은, 정교하고 튼튼해 보인다는 의견이 많았다. 제1주성분 [다채로움]과 제2주성분 [제품완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2020. 10. 27.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운동화) -3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세번째 나. 사용자 감성에 대한 실험 및 분석 나-1. 측정샘플 FCB그리드모델(Foote, Cone, & Belling grid model)에 따라 구매자가 정서적(감성적)이며 고관여 상품인 보석, 화장품, 패션, 의류 중 운동화를 샘플로 선정하였다. 컬러적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 검은색으로 선정하였으며, 브랜드 로고 관여도를 함께 조사하기 위해 아디다스 운동화를 선정하였다. 20개의 썸네일 측정샘플은 아래와 같다. 측정 샘플 선정시, 최대한 다른 요소를 선정하려고 노력하였다. 기존 판매되는 썸네일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색상과 요소가 혼합되어 있었다. 이에 기존 사용도는 썸네일 뿐아니라, 실험을 위해 직접 제작한 썸네일이 포함되어있다. 정해진 썸네일 규정이 없어, 다양.. 2020. 10. 26.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운동화) -2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정리 중 첫번째 내용이다. 가. 운동화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의 목적 오프라인이 아닌 가상공간에서 판매되는 온라인 쇼핑에서는 상품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생긴다. 이 불안감을 없앨 수는 없지만, 감소시키는 것이 바로 제품에 대한 정보이다. 온라인에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이다. 1. 대표이미지(썸네일) : 상품의 시각적 정보를 전달 2. 상품명 : 상품의 이름을 전달 3. 상품상세(상품을 설명하는 글, 이미지) : 상품의 구체적이고 상세한 내용을 전달 그 중 상품의 첫 이미지를 결정하는 썸네일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썸네일은 수많은 상품 중 판매자의 상품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이미지 장치이다. 온라인 쇼핑몰 중 검색서비스를 기반으로 커머스 .. 2020. 10. 25.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운동화) -1 부산대학교 대학원 예술대학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2019년 하반기 디지털 미디어론Ⅱ 손원준 교수님 수업시간에 진행한 운동화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썸네일을 감성분석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평소 모바일 상세페이제 제작을 진행하고 있을 뿐아니라, 당시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상품 판매의 행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었다. 현재는, 코로나로 인해 언택트 소비가 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오프라인 판매가 늘고 있다. 많은 상품들 중에, 운동화를 선택한 개인적인 이유는, 비교적 고관여 상품인 보석, 화장품, 패션, 의류 중 모양이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운동화를 선택하였다. *고관여 상품 : 구매시 많이 따져보고 사는 상품으로 비싸거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상품들. 모바일 썸네.. 2020. 10.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