썸네일감성분석결과2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운동화) -4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마지막 스토리 다. 감성 분석결과 다-1. 신발 방향과 제 1주성분과의 상관성 아래 그림은 바리맥스(Varimax) 회전 후 부하량 결과로 나타난 주성분 득점배치도이다. 신발 코의 방향이 왼쪽을 향한 썸네일이 주성분2인 [제품완성도]에서 높은 득점을 배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이 많아 보편화하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신발 코의 방향에 따른 감성분석은 성립되지 않았다. 다-2. 신발의 개수에 따른 주성분과의 상관관계 신발의 각도를 달리하거나, 앞,뒤 등 방향을 달리하여 한 번에 보여주는 등의 신발의 개수를 달리한 썸네일은, 정교하고 튼튼해 보인다는 의견이 많았다. 제1주성분 [다채로움]과 제2주성분 [제품완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2020. 10. 27.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운동화) -2 모바일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 결과 정리 중 첫번째 내용이다. 가. 운동화 썸네일에 따른 감성분석의 목적 오프라인이 아닌 가상공간에서 판매되는 온라인 쇼핑에서는 상품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생긴다. 이 불안감을 없앨 수는 없지만, 감소시키는 것이 바로 제품에 대한 정보이다. 온라인에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이다. 1. 대표이미지(썸네일) : 상품의 시각적 정보를 전달 2. 상품명 : 상품의 이름을 전달 3. 상품상세(상품을 설명하는 글, 이미지) : 상품의 구체적이고 상세한 내용을 전달 그 중 상품의 첫 이미지를 결정하는 썸네일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썸네일은 수많은 상품 중 판매자의 상품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이미지 장치이다. 온라인 쇼핑몰 중 검색서비스를 기반으로 커머스 .. 2020. 10. 25. 이전 1 다음